한국의 인구구조 변화,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앞으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 예상됩니다. 2015년부터 2060년까지 한국의 유소년 인구 비중은 3.7%p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23.3%p 감소하며, 고령인구 비중은 27.0%p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이미 2012년 73.1%로 정점을 찍고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060년에는 49.7%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성장 잠재력이 약화될 위험이 크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노동력 공급을 축소시키고, 소비자 수요를 줄여 내수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하면서 국민 총소득의 증가가 어렵게 되고, 내수 활성화와 생산성 향상도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로 인해 내수산업은 공급과잉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실적 개선을 어렵게 만들고 저임금과 실업, 전직이 반복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낮은 생산성 문제는 주로 기업의 낮은 부가가치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가절감과 낮은 이익률을 감수하면서 대량생산에 의존하는 방식이 지속되면, 부가가치 창출이 제한되고 경제 성장도 둔화됩니다. 기업은 원가 경쟁력을 추구하기보다, 상품의 단가를 높이고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야 합니다. 고객 충성도가 높은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이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이 될 것입니다.
결국, 한국 경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강화하고, 생산성과 브랜드 파워를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 노동력 감소로 인한 문제를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전기신문 2016.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