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소싱 확대와 제조업 해외 현지 생산 증가로 인해 대기업 하청 구조가 약화되고, 중소기업의 2차 수급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2차 수급기업 비중은 50%였으나, 2014년에는 33%로 축소되었으며, 중소기업들은 하청 구조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성장할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절실해졌다. 또한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제품 수명주기가 짧아지면서, 개별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대한 압박과 실패 위험이 커지고 있다.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은 주요 국가에서 하락하고 있으나, 한국은 1990년대 이후 제조업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여전히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독일에 이어 한국의 제조업 생산지수가 양호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제조업은 한국 경제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제조업 중심의 산업 기반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협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간 협업은 경쟁우위를 갖추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협업에 대한 인식과 의지를 높여야 한다. 정부는 협업을 촉진할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중장기적 협업 발전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일본과 이탈리아의 입법 사례를 참고하여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과 혁신성을 높이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전기신문 2017.03.27)